글로벌 시장 금리 인상에 부동산 대책 강화

문재인 대통령의 경제 정책이 도마 위에 올랐다. 가장 큰 핵심 이슈는 가계부채와 부동산 시장 대책이다.

특히 최근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인상될 기미를 보이면서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미국의 금리인상과 가계부채의 급증, 그리고 부동산 과열 단속 정책이 겹치면서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심상치 않은 조짐을 보이고 있다.

 

 

미국의 금리인상에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는 시기는 연말 이후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하지만 최근 한국은행 총재가 금리인상에 대비하라는 신호를 주면서 이상 징후가 포착되고 있다.

무엇보다 문재인 정부의 가계부채에 대한 관리 의지가 강력해 시중 금리가 상승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자 부담 ‘이상 징후’

최근 5대 은행 금리 자료에 따르면 5년 고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의 최저금리는 은행 신용평가 1~2등급 대상의 경우 5월말 우리은행 3.6%, KEB하나은행은 3.4%, NH농협은행 3.3%, KB국민은행 3.2%, 신한은행 3.2%로 나타났다.

이는 4월말 대비 우리은행은 0.22%, 하나·농협·국민은행은 0.01~0.02% 금리가 인상된 것이다. 신한은행만 소폭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의 금리도 연말·연초를 기준으로 다소 내림세를 보인 뒤 최근엔 횡보세를 보였다. 그러나 전국은행연합회는 주택담보대출의 기준이 되는 신규 코픽스 금리가 전달 1.46%에서 1.47%로 상승 전환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이에 따라 은행들이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4~5월엔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이 지난해 가을철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증가하는 등 부동산 거래가 활발했다.

대체로 6~7월에 잔금을 치르게 돼, 주택담보대출이 필요한 금융소비자들이 금리인상에 대비해 잔금 일정을 서두를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은 수억원으로 금액이 크다 보니 이자 부담에 소비자가 대단히 민감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미국을 비롯 글로벌 금리 상승세에 따른 국내 시장금리 상승 압력도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상승 추세를 이끌 것으로 보인다.

은행 전체 주택담보대출 가중평균 금리는 지난해 7월 2.66%로 저점을 찍은 뒤 올해 4월 3.21%로 0.55%나 상승했다. 산 넘어 산인 부동산 대출 금리 문제를 문재인 노믹스가 어떻게 해결해 나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