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노 조센 지음/ 김영란 옮김/ 글항아리

무대는 이시카와현 하쿠이시의 미코하라 지구. 인구 2만2670명의 소도시로, 주민의 50퍼센트는 65세를 넘긴 고령화 마을(한계취락)이다. 마을 주민들의 연 수입은 900만 원(87만 엔). 지난 20년 새 인구는 37퍼센트나 줄어들었다. 게다가 농사를 포기하는 경작지는 늘어만 가고, 아기 울음소리가 끊긴 지도 오래다. 무엇보다 안타까운 것은 이 마을 젊은이들이 자기 출신지를 숨기고 부끄러워한다는 것. “어디 출신입니까?”라고 물었을 때 그들은 말끝을 흐린다. 자기 고향에 자부심이 없는 사람들…… 게다가 20년 후면 마을 주민의 평균 연령은 90세가 된다. 꼬부랑 노인들이 그때도 과연 먹고살 수 있을까. 

그러던 어느 날 희한한 발상으로 똘똘 뭉친 계약직 공무원 다카노 조센이 이 마을에 발령을 받아 온다. 도시에서 방송 구성작가를 하던 그는 집안 사정상 이곳으로 돌아와야 했지만, 결코 오고 싶지 않았다! 게다가 나이 제한에 걸려 임시직밖에 될 수 없었다. 다카노는 상사에게 물었다. “정규직이 될 방법이 정말로 없는 건가요?” 상사는 이에 “꼭 필요한, 대단한 존재가 되지 않는다면 무리다”라고 답했다. 그때 다카노는 결심한다. “한번 불살라보자.”  

미코하라의 쌀은 어쨌거나 엄청난 대성공의 드라마로 이어진다. 그리고 다카노는 4년 만에 정규직 공무원이 되는 행운을 얻는다. 그때부터 사람들은 그를 ‘슈퍼 공무원’이라 부르게 된다. 이 책엔 그가 농가 소득을 올리고 젊은이들을 마을로 모여들게끔 한 기발한 아이디어들이 소개된다. 농협에 의존 않고 직판장을 실시한 것, 무농약·무비료의 자연 재배를 확산시켜 ‘미코하라 지구 살리기 프로젝트’에 돌입한 것, 일본 전통문화인 요보시 부모 제도를 벤치마킹해 ‘유휴지, 빈집 정보 은행 제도’를 시행한 것…….

그의 이야기는 일본방송 TBS 일요극장에서 <나폴레옹의 마을>이란 드라마로도 방영됐다. 드라마 설명엔 “다카노 조센의 『로마법왕에게 쌀을 먹인 남자 과소의 마을을 구한 수퍼 공무원은 무엇을 했나?』를 원안으로 해, 소멸 직전의 한계 취락을 정비하기 위하여 개혁을 일으키는 ‘슈퍼 공무원’의 분투를 그린다”라고 나와 있다.

일개 공무원인 그는 이런 일을 어떻게 이뤄낼 수 있었을까. 맨 처음 시청에 와서 그가 느꼈던 점은 공무원들이 맨날 회의만 하고 보고서를 쓸 뿐, 아무것도 실행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이때 다카노의 머릿속에 묘안이 떠올랐다. 예산을 적게 배정받으면 상사에게 보고 절차를 거칠 필요도 없고 윗선의 개입도 줄어들 것이다! 행동하는 데 걸림돌이 많으면 이 마을은 변할 수 없다. 그는 ‘기획서 따위 쓰지 않겠다’ ‘모든 일은 사후 보고한다’라는 제안을 상사에게 함으로써 공무원 조직을 발칵 뒤집어놓는다. 하지만 예산을 쓰지 않는다고 하니 그에겐 결국 행동의 자율권이 주어졌다. 게다가 한 선배 공무원은 그에게 “범죄 행위만 아니면 모두 내가 책임져주겠다”고까지 말해줬다. 그리하여 그는 한계취락을 부흥시키는 일에 뛰어든다.  

그는 ‘축적된 실패’도 결국 의미를 지닌다고 생각한다. “어떻게 하면 가능할지 그것만 생각하면 됩니다. 할 수 없는 사람은 할 수 없는 겁니다. 사심을 없애고, 자신을 버리면 일이 잘 풀리거든요.”

이 책이 일본 공무원들의 필독서가 되고, 드라마로 제작되며, 젊은이들로부터 열광적인 반응을 끌어내고 있는 이유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