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온갖 역경 딛고 꿈 이룬 가수 김덕희 스토리

▲ 김덕희

이 글은 경기도 안성 당직골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4학년이 될 무렵 학교를 그만두고 남의 집 더부살이를 시작, 결국 가수로서 꿈을 이룬 김덕희가 쓰는 자신이 살아온 얘기다. 김덕희는 이후 이발소 보조, 양복점 등을 전전하며 오로지 가수의 꿈을 안고 무작정 상경, 서울에서 장갑공장 노동자, 양복점 보조 등 어려운 생활을 하는 와중에도 초·중·고 검정고시에 도전, 결실을 이뤘고 이후 한국방송통신대 법학과에 진학해 사법고시를 준비하다가,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가수 도전장을 내밀었고 결국 성공을 거뒀다.

“남의 집에서 더부살이하면서 라디오에서 나오는 송창식의 ‘왜불러’, 이은하의 ‘아직도 그대는 내사랑’을 들으며 가수가 되고 싶었어요. 그동안 고생도 많이 했지만 꿈을 이뤘다는 것이 너무 행복할 뿐입니다.”

<위클리서울>의 간곡한 요청에 결국 연재를 허락한 김덕희가 직접 쓰는 자신의 어려웠던 삶, 그리고 역경을 이겨내고 성공에 이르기까지의 얘기들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 그리고 모든 현대인들에게 귀감이 될 것이란 생각이다. 많은 성원 부탁드린다. <편집자주>

 

훔친 사과가 더 맛있다고 해서 그런가. 물론 아버지 몰래 한줌씩 한줌씩 덜어 그때마다 쌀밥을 지어 먹는 그 자체도 스릴이 있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꼭 그런 것만은 아니었다. 일단 너무 오랫동안 굶주렸던 게 이유였다. 그리고 특히 보리가 전혀 섞이지 않은 쌀밥은 정말 오랜만에 먹어보는 것이었으니….

문제는 그 다음이었다. 우리 집에서 학교를 가려면 꼭 쌀창고가 있는 그 삼거리 마을을 거쳐서 가야 했던 것이다.

쌀을 훔친 그 다음날 아침 집을 나서는데 벌써부터 가슴이 두근거리기 시작했다. 하지만 우회하려면 산길을 돌아가야 하는데 그러다간 학교 수업에 늦을 게 뻔했다. 하는 수 없이 삼거리 마을 쪽으로 걸음을 옮겼다. 도둑이 제 발 저린다고…쌀집 앞을 지나는데 여간 조심스럽지가 않았다. 마을 사람들이 쌀집 앞에 모여 수군거리고 있었다. 게다가 고개를 푹 수그린 채 지나면서 가만히 들어보니 쌀도둑 얘기를 하고 있는 게 아닌가. 난 얼굴이 화끈 달아올랐다. 가슴이 콩닥 거렸다. 빠르게 쌀집 앞을 지나쳤다.

수업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데 도저히 그 쌀집 앞을 지날 용기가 나지 않았다. 하는 수 없이 꼬불꼬불한 산길을 따라 한참을 돌아서 와야 했다. 덕분에 밤 늦은 시간이 되어서야 집에 도착할 수 있었다.

 

 

삼거리 쌀창고에 도둑이 들었다는 소문은 조그마한 시골 마을에 삽시간에 퍼졌다. 나중엔 이웃 마을에까지도 알려지게 되었다.

얘기가 바람을 타고 내 귀에 들려올 때마다 내 심장은 요동을 쳤다. 쌀을 훔치던 날 밤 겁에 질려 창고 열쇠를 다시 잠그지 않고 그냥 뛰어 나와 버린 결과였다. 많이 후회가 됐다.

얼마 안가서 훔쳐온 쌀도 다시 바닥이 났다. 다시 굶주림의 나날이 시작됐다. 나중에 너무 배가 고플 때는 산에 올라가 땔감나무를 해다가 장에 가서 팔기도 했다.

당직골에서 동쪽에 있는 산등성이로 약 8Km 정도 넘어가면 충북 음성에 모란이라는 읍내가 있었다.

주로 수업이 없는 주말이면 나는 아버지의 지게를 지고 당직골 뒷산에 올랐다. 그리고 나무를 꺾었다. 지게에 질 수 있을만큼 나무를 했고 그걸 지고 내려와 다시 8km 산길을 넘어 모란장에 나갔다. 중간에 수십번은 쉬어야 했다. 온 몸에서 땀이 비오듯 했지만 쌀과 보리를 살 수 있다는 생각에 힘이 드는 지도 몰랐다.

아마 그 해 초겨울 쯤이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우리 아랫집에 사는 두 살 아래의 동생과 학교에 갔다가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벌어진 일이다.

당직골로 올라오는 길가에는 수십 마지기의 논이 있었다. 논에는 이미 추수를 한 뒤 쌓아놓은 벼집단들이 수북히 쌓여 있었다.

추운 날씨였다. 아랫집 동생과 나는 몸이나 녹이고 가겠다는 생각으로 벼집단이 쌓여 있는 바로 옆 논두렁에 앉아 책보따리 속에 든 성냥을 꺼내 불을 지폈다. 성냥이 어떻게 해서 책보따리 속에 들어있었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

그런데 갑자기 바람이 거세게 불더니 삽시간에 그 수북히 쌓아놓은 벼 집단으로 불길이 번지는게 아닌가. 불은 시커먼 연기를 내뿜으며 거세가 타올랐다. 우린 겁이 덜컥 났다. 일부러 볏집에 불을 지핀게 아니고 논두렁에 불을 지핀 것이었는데 그게 삽시간에 번진 것이다. 한 해 동안 힘들게 지은 벼들이 불에 타고 있는 것을 보자 다리가 후들거렸다. 게다가 불어대는 바람 때문에 불길을 잡는다는 것은 요원한 일이기만 했다. 그 볏집의 주인은 우리도 잘 아는 동네 부자의 것이었다.

잠시 머뭇거리던 우린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바로 옆에 있는 큰 산으로 무작정 뛰어 도망을 쳤다. 겁이 나서 일단 그 자리를 피해야겠다는 생각 뿐이었던 것이다.

산 정상에 올라가 불이 난 곳을 보니 동네 사람들이 여럿 불타고 있는 논을 향해 뛰어오고 있었다. 마을 사람들의 손에는 크고 작은 양동이와 삽 등이 들려져 있었다.

무섭기도 했지만 한편으론 재미도 있었다. 동네 꼬마들도 무슨 큰 구경거리라도 난 양 떼를 지어 논으로 몰려들었다. 그 중에는 아버지와 동생의 부모님의 모습도 보였다.

사람들은 현장에 도착하자 논옆 개울의 물을 퍼서 불이 난 볏집에다 퍼 부었지만 그런 노력들은 모두 헛수고였다. 불길이 워낙 세다 보니 벼 집단들이 모두 시커멓게 다 타버린 뒤에야 불은 꺼졌다.

우리는 산 정상에서 날이 저물도록 아래로 내려오지 못했다. 집으로 가야 하나, 어째야 하나도 결정을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다음에 계속>

 

 

키워드
#N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